반응형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데에 C언어가 쓰인다.
메모리는 주소가 있다. 이 주소번지를 통해 값을 주고받는다. 하드웨어를 제어할 때 이 방식을 통해 제어한다.
따라서 포인터가 있는 C언어를 사용한다.
반대로 포인터 개념이 없는 JAVA나 python으로는 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할 수 없다.
Floating point :
normalization(정규화) : 모든 수를 1.xxx*2^10이나 0.1xxx * 2^10의 형태로 변환하는 것
biased exponent : 보정값
significand : 정규화에서 . 다음 숫자들 1/2+1/2^2+1/2^3+1/2^4+...+1/2^23까지
float이나 double은 정교한 계산을 위해서 만들어졌다. 큰 수를 표현하기 위해서보다는.
IEEE 754는 float나 double이 만들어지는 것을 규정하고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