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난 글쓰기 피드백
단락의 구분이 모호하다.
단락 첫 부분에 띄어쓰기 x
이야기가 이어지는 도중에 줄 바꾸기
비문이 많다
첫 단락에 서론-본론-결론이 다 서술되어 있다
구체적인 사건이나 일화만 서술하고 끝난다(사건/일화는 수단이지 목적이 아님을 잊지 말자)
도입 단락 이후 글이 어떻게 전개될 것인가에 대한 설명 부족
글에서 도입 부분이라는 뉘앙스가 잘 느껴지지 않는다
서술 방식 - 논증
# 논증
아직 명확하지 않는 사실이나 현상에 대해 자기의 견해를 주장하고 적절한 논거를 제시하면서 증명하는 서술 방식이다.
자기의 독자적인 견해에 대해 근거를 밝혀 독자를 설득시키는 것이다.
# 명제
어떤 문제와 현상에 대한 글쓴이의 주장이나 견해를 간결하게 문장화한 것
- 사실 명제 : 사실
- 가치 명제 : 개인의 생각
- 정책 명제 : ~ 해야한다
# 논거
- 사실 논거 : 그 주장이 사실임을 입증할 수 있는 사료, 통계, 분석, 수치, 실험 등 객관적인 자료들을 논리적 근거로 삼는 것
- 소견 논거 : 타당한 사실임을 입증하기 위해 전문가와 같이 누군가의 의견을 활용하는 것
# 추론
신뢰할 만한 사실이나 소견 드을 논거로 삼아 타당한 결론을 이끌어 내는 것
- 귀납법 : 개별적인 현상을 통해 일반적인 결론을 이끌어 내는 추론
글감 : 성희롱 예방교육
# 설명
성희롱이란 무엇이고, 그 교육은 어디서 어떤 프로그램으로 진행되며, 예상되는 기대 효과는 무엇인지 중심으로 서술한다.
# 묘사
교육의 현장과 교육 내용을 눈으로보듯 객관적으로 보여준다.
# 서사
교육의 전개 과정을 시간적 순서에 따라 기술한다.
# 논증
'성희롱 예방 교육은 필요하다' 또는 '필요하지 않다'고 주정하고, 타당한 근거와 합리적인 방식으로 독자를 설득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