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창업

[창업] 한명수 CCO_미래를 여는 창의성과 기업정신과 me

MIRIP 2022. 11. 29. 01:59
반응형

배달의 민족 한명수 CCO 토크 콘서트

97년도에 돈 번 방법 : 디자인을 만들어달라하면 그걸 안간힘을 써서 하셨다. 시정해달라고 하면 시정까지.

유튜브 영상 추천 : EO 채널의 배달의 민족이 유니콘 기업이 될때까지를 추천한다.

 

집중해야 하는 것

"구루"

"고객"

에 대해 찾아보는 것이 좋다.

 

투자자들이 보는 것

  • 사업아이템
  • CEO의 철학
  • 회사문화(분위기/팀웍)

CEO의 철학이 막내한테 쑥 들어간 것이 투자자들은 딱 보인다.

 

CCO란 무엇인가

Chief

Creative, Culture, Communication

Officer

: C는 하나만 있는 것이 아니다.


무엇부터 시작해야 할까?

# 정의(definition)내리기

"난 잘 살고싶다"

"잘 사는 것"이란?

 

"명함"이란?

이름을 담는 그릇

그래서 이름을 회사보다 크게 디자인했다.

 

# 정의를 질문해야하는 이유 :

결과가 달라진다

 

배달의 민족의 철학

포스터를 마스킹테이프로 붙이는 이유?

잘 떨어지라고

 = 포스터가 떨어지면 다시 마스킹테이프로 붙이는 것까지가 유지보수 하는 것이다. 포스터를 깔끔하게 완벽하게 붙이는 것은 안된다.

 

세상?

누가 분류했을까?

이런 것이 질문거리가 되어야 한다.

 

창의성 관련해서 이야기해 주겠다.

왜 창의 분야는 없을까?

나누면 편리하니까. 생각을 안해도 되니까.

 

'돈'이란?

'비즈니스'란?

'회사'란?

'좋은 회사"란?

'교육'이란?

 

'창의'란?

"끼"라고 정의해보겠다.

끼를 "경영" 하는 것이 사람이다.

 

'일'이란 무엇인가?

일 : "무기력함"이 아닌 경이로움을 찾는 행위

 

'혁신'이란?

 

'창의성'과 '경영'을 겸비한 사람은 누가 있을까?

창의적인 경영이란 무엇인가.

 

'나'를 아는 것이 모든 것의 시작이다.

 

사람들은 나를 뭐라 부르는가?

나를 뭐라 불러주면 좋을까?

 

배달의 민족 CCO의 페이스북 상태메시지 ( 정한 뒤 10년동안 바꾸지 않았다 )

복잡하고 어려운 것들을 쉽고 재밌게 다지인하려다가.

 

사람들의 자기소개가 흥미롭지가 않다.

 

내면의 목소리에 집중해라 ( 작가 미상이라는 영화 추천 )

나를 찾는 것은 고통의 연속이다.

 

나는 **적인 사람이다. 라는 것은 듣는 사람이 평가하는 것이다.

위의 말은 내가 말할 것이 아니라

나만의 이야기를 할줄 알아야 한다. 어떤 사람도 할 수 없는 나만의 이야기.

 

좋은 사람의 아무 이야기를 듣는 것이 맞다. 좋은 이야기를 듣는 것이 아니라.

나만의 이야기를 하는 것은 대단히 흥미롭다.

 

내가 누군지는 부딛혀봐야 알겠구나

 

'자기소개'란?

 

창의성이란 유연함이다.

창의성의 문이 닫기는 이유

 

문화의 반대말은?

자연

 

'문화'

= 부자연

 

내용과 형식을 합치는 것이 design이구나!

 

철학은 신념을 만들과 신념은 일관된 행동을 만들고 이것은 아이덴티티를 만든다.

 

이 모든것들은 정의를 내림으로써 만든 것이다.

 

정의란 philosophy를 꽉 체우는 것이다.

 

의자란 무엇인가?

의자를 만들어볼까

앉는 것을 만들어볼까?

두 개의 결과물이 다르다.

 

이미 알고있는 것 말고 나만의 방식으로 정의하자

끊임없이 질문하자.

 

# 망하는 순간이 최고이다.

망했을 때 CEO만 웃으면 모든 사람에게 평화가 온다. 그러나 현실 세계에 그런사람은 없다.

실패했을 때 웃은 경험이 없기 때문에.

 

불완전한 문제 덩어리가 많다. 우리 주니어 친구들이란 표현을 쓴다. 그래서 CEO께 끌려갔다. 그런 점에서 단지 화를 내는 것이 아니라 미리 문제가 터짐에 감사해야 한다.

 

Q : CCO가 자신을 찾기 위해 이거까지 해봤다.

A : 연약한 부분을 이야기하는 것이 엄청난 것이다.

 

정의를 내릴 때 한명수님의 방식이 있나?는 아쉽게도 질문하지 못했다..

728x90
반응형